Submit a Manuscript to the Journal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For a Special Issue on
국제학술지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특별호 논문 모집
Manuscript deadline
31 December 2023

Special Issue Editor(s)
Seyoung Hwa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mail protected]
Sun-Kyung Lee,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email protected]
Namsoo Ki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
[email protected]
Chankook K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mail protected]
Eunjoo Le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email protected]
국제학술지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특별호 논문 모집
국제학술지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이하 EER)는 환경교육 분야의 대표 학 술지 중 하나로 2022년 기준 연 12호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EER 편집위원회는 우 리나라 환경교육의 변화와 발전, 특징 등을 담아 한국의 환경교육 특별호(special issue)를 기획하여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은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과정을 거 치며 발전을 모색하였습니다. 이러한 제도화의 예시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국가 차원의 환경교육법에 국한하지 않습니다. 국가 교육과정에 환경 과목이 포함된 방 식, 환경교사 및 사회환경교육자 확보를 위한 노력 등 학교와 사회 환경교육 분야 의 다양한 제도는 동아시아에 위치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환경교육 실천을 구 체화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줍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지만 이러한 환경교육 정책과 제도 측면의 변화가 갖는 의미를 국제 환경교육계와 공유한 학술논문은 매우 제한 적입니다. 이에 EER 편집위원회의 기대를 담아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맥락과 실천 등을 국제학술지에 소개하는데 있어 여러 연구자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합니다.
- EER 특별호 주제: 한국 환경교육의 제도화, 역할과 과제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e Roles and Challenges of Institutionalization)
- 특별호 발행 목적: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정책 수립과 실행의 특징을 제도화의 과정과 결과 등에서 드러나는 역할과 도전에 초점을 맞춰 논의하면서 환경교육 의 제도화에 관한 국제 담론 형성에 기여하고자 함
- 투고 학술논문 주제: 이번 특별호의 큰 범위는 한국의 환경교육임. 우리나라 환 경교육의 제도화 과정 및 결과 등에 초점을 둔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교 육 영역에서 현 제도를 실행하며 드러나는 도전이나 시사점을 다루는 연구 주제 도 포함될 수 있음. 투고할 논문은 다음에 예시로 제시한 참고 질문과 직·간접적 인 연관성을 드러날 것을 기대함
[참고 질문: 예시]
-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제도화 과정의 맥락과 동기는 무엇이며, 애초 기 대된 해당 제도의 역할에 어느 정도 부응하는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는 가?
-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제도화 과정 또는 그 결과인 제도는 학교 및 사회 환경교육의 실천을 어떻게 지원 또는 제한하는가?
- 환경 및 교육 분야 의사결정자, 연구자, 교사, 실천가, 청(소)년 학습자 등 환경교육 분야의 다양한 주체들은 어떻게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공간 (場, space)을 만들어왔는가?
- 우리나라 환경교육 분야의 다양한 주체들은 환경교육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주체가 환경교육의 발전을 위해 시도한 제도적 전략 또는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개념, 목적, 교수학습방법, 정책 쟁점 등을 논의하 며 실증적,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데 환경교육 연구는 어떻게 기여하 고 있는가?
Looking to Publish your Research?
Find out how to publish your research open access with Taylor & Francis Group.
Choose open accessSubmission Instructions
EER 특별호 논문 제출 방법 및 기한
- 상세 초록(extended abstract): 8월 31일까지 이메일 제출([email protected])
- [상세초록 포함사항]
- 영문 제목
- 예상 저자(교신저자) 영문명
- 영문 연구요약: 연구 목적, 방법, 주요 결과 등을 포함하여 1,000 단 어 내외
- 주요 참고문헌
- [상세초록 포함사항]
- 상세초록 검토 결과 안내: 9월 31일
- EER 투고논문 제출: 12월 31일
투고논문의 형식은 EER 투고 가이드라인 참고
https://www.tandfonline.com/action/authorSubmission?show=instructions&journalCode=ceer20#preparing-your-paper
EER 특별호 논문 투고 관련 참고사항
- 제출된 상세초록에 대해 EER 특별호 편집위원회가 주제 적합성 등을 논의하 여 제안사항 및 투고 가능 여부를 안내할 예정임
- 이번 특별호에 투고된 모든 논문은 이후 EER 심사를 거침. 심사 및 수정 절차 를 거쳐 특별호가 발행되기까지 약 1년 이상 소요될 수 있음. 모든 논문은 개 별 심사과정을 거치며, 특별호 발행까지 게재가 결정되지 않으면 EER 편집위 원장 등의 결정에 따라 게재되지 않거나 차후 정기호에 게재될 수도 있음.
- 논문 투고 전에 원어민 영어 교정 또는 감수를 반드시 거치도록 권고함
- 특별호 편집위원회: 황세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선경(청주교육대학교), 김남수(국토환경연구원), 김찬국(한국교원대학교), 이은주(한국교육개발원), Alan Reid (Monash University, EER Editor in Chief)
- 논문 제출 관련 문의: [email protected]